덕천역 (부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천역은 부산광역시 북구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3호선 환승역이다. 1999년 6월 2호선이 개통하면서 영업을 시작했으며, 2005년 3호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역 주변에는 구포시장, 부산과학기술대학교 등이 있으며, 상업 지구도 형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수영역
수영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3호선 환승역으로, 2호선 개통 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좌수영에서 유래되었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대저역
대저역은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부산-김해 경전철의 환승역으로, 3호선은 2005년 개통 후 종착역이었으나 2011년 경전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환승 시 개찰구를 통과해야 하지만 교통카드 이용 시 환승할인이 적용된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수영역
수영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3호선 환승역으로, 2호선 개통 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좌수영에서 유래되었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대저역
대저역은 부산 강서구에 위치한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부산-김해 경전철의 환승역으로, 3호선은 2005년 개통 후 종착역이었으나 2011년 경전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환승 시 개찰구를 통과해야 하지만 교통카드 이용 시 환승할인이 적용된다. - 부산 북구의 전철역 - 동원역
동원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지하철역으로, 금곡동에 위치하며 조선시대 지명 '동원'에서 유래되었고, 금곡역과 율리역 사이의 먼 역간 거리로 인해 건설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반지하역으로 부산 도시철도 역 중 승강장이 가장 좁다. - 부산 북구의 전철역 - 화명역 (도시철도)
화명역은 1999년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율리역 사이에 회차 선로와 하저터널이 있으며, 주변에 경부선 화명역과 롯데마트, 교육 시설 등이 위치한다.
덕천역 (부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모국어 표기 | 덕천 |
읽기 | 토クチョン |
로마자 표기 | Deokcheon |
부역명 | 부산과기대학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대로 지하 14 |
운영 정보 | |
소속 사업자 | 부산교통공사 |
운영 사업소 | 부산교통공사 제2운영사업소 덕천관리역 |
노선 정보 | |
노선 | 2호선 3호선 |
영업 거리 | 2호선: 장산 기점 29.8km 3호선: 수영 기점 13.5km |
역 번호 | 2호선: 233 3호선: 313 |
전철화 여부 | 전철화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구조 | 2호선: 2면 2선 3호선: 1면 2선 |
개업일 | 2호선: 1999년 6월 30일 3호선: 2005년 11월 28일 |
인접역 | 2호선: 전역: 232 구명 (1.2km) 후역: 234 수정 (1.5km) 3호선: 전역: 312 숙등 (0.7km) 후역: 314 구포 (1.1km) |
2. 역사
- 1991년 11월 28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호포역~서면역 구간 착공
- 1997년 11월 25일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대저역~수영역 구간 착공
- 1999년 6월 30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호포역~서면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당시 부역명은 '부산정보대학'이었다.
- 2005년 11월 28일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대저역~수영역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다.
- 2012년 2월 15일 : 부산정보대학이 부산과학기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함에 따라 부역명을 '부산과기대'로 변경하였다.


3. 역 구조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연결된 지하상가를 통해 숙등역까지 걸어갈 수 있다. 3호선 승강장 측에 유치선이 설치되어 있으나, 야간 주박에는 사용되지 않는다.[4] 출입구는 총 9개가 있으며, 각 출입구의 위치는 아래와 같다.[5]
덕천역 내부에는 상업 지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맥도날드와 아울렛 등이 입점해 있다. 이 상업 지구는 2010년 주말 기준으로 부산 내에서 인구 밀집도가 높은 상위 10곳 중 하나로 꼽혔다.[3]
2호선은 상대식 승강장, 3호선은 섬식 승강장 형태이며,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2면 2선의 곡선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반대편 승강장으로의 횡단은 불가능하다.[6]
3. 2.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승강장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완전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역 주변
덕천역 내부에는 상업 지구가 위치해 있으며, 맥도날드와 아울렛 등이 입점해 있다. 이들은 2010년 주말 기준 부산 상업 지구 중 인구 밀집도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3]
5. 승차량 변동
3호선은 2005년 11월 28일부터 영업을 시작하였다. 3호선 개통 이후 2호선 승객이 급감한 것을 알 수 있다. 3호선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다.
역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2호선 | 13421 | 12391 | 11729 | 10836 | 6675 | 6049 | 6700 | 6894 | 7204 | 7691 | 6792 | 6606 | 6644 | 6465 | [7] |
3호선 | 미개통 | 4973 | 5037 | 5801 | 6939 | 7703 | 8249 | 9443 | 11006 | 11683 | 11755 | 11991 | [7] |
6. 인접한 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구명 - '''덕천''' - 수정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숙등 - '''덕천''' - 구포
6. 1.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장산 방면양산 방면 →